Article summary
-
연구란 무엇일까? Research methods in physical activityArticle summary 2023. 8. 28. 10:42
To each person, the word reseach conjures up a different picture. Ethnier를 잠시 찾아보다 알게된 "Research methods in physical activity" 책의 첫 장의 내용을 정리했다. (신체활동을 연구하는 모든 Kinesiology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연구방법 책인 것 같다. 2022년에 나왔는데도 벌써 5900이 넘는 인용수를 가진 책이다.) 미국 Kinesiology department에서 공부를 하다보니 교육 현장에서의 질적 접근을 주로 다루던 한국에서와 다른 분위기에 혼란을 겪을 때가 많았다. 아직도 Research를 한다고 말하고 나의 이야기를 설명하면, 그것이 어떻게 리서치인지 이상하게 쳐다보는 경우가 있었을 정도이..
-
문헌분석 어떻게 할까Article summary 2023. 1. 5. 14:29
Boote, D.N. & Beile, P. (2005). Scholars before researchers: On the centrality of the dissertation literature review in research preparation. Educational Researcher, 34(6), 3-15. 왜 literature reviews가 중요할까? “Doctoral students must be scholars before they are researchers. First and foremost, a dissertation should demonstrate a thorough and sophisticated grasp of one’s field of study; secondarily ..
-
체육 수업 중 학생 참여를 위한 6가지 간단한 전략Article summary 2022. 12. 22. 06:53
Donal이 수업 중 활용했던 democratic PE pedagogies를 간단한 칼럼으로 작성. 체육 수업 중 학생 목소리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실천적 방법 공유. 자신의 관심을 정말 잘 쌓아가고 있구나...! Donal Howley (2022) Talking the Talk, Walking the Walk: Six Simple Strategies for Enacting Student Voice in Physical Education, Strategies, 35:6, 38-40, DOI: 10.1080/08924562.2022.2120350 1. Full-Value Contract - 수업 중 지킬 목표를 세우는 것을 넘어 학생들을 수업에 관련된 것을 만들고 고려할 수 있도록 초대하는 것. (Rat..
-
Value Orientation Inventory: Development, Applications, and ContributionsArticle summary 2022. 12. 21. 14:23
가치정향 이라는 말로 공부하던 내용이 이런 흐름으로 발전되고 사용되고 있었구나. Value orientation inventory의 development, Cross-validation, Applications, Contributions (pedagogy perspective, measurement perspective, an exemplar scholarship development), Future direction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Ennis에 대한 존경을 엄청나게 표함. 더 빨리 UNCG에 왔으면 Ennis를 볼 수도 있었을텐데, 궁금하다 어떤 사람이었을지. 새로운 revision은 health emphasis and physical literacy이라는 새로운 체육교육의 방향을 담고 social..
-
AERA SIG 93 Webinar Series: Social Emotional LearningArticle summary 2022. 12. 21. 12:24
TPSR을 기반으로한 SEL in PE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는 Wright 와 Richards의 발표. SEL이 중요하고 연구할 부분이 많다는 것을 강조하고 특히 어떤 방식으로 연구 tool을 쓰고 있는지 참고할만함. 특히 영상에서 discussion session was worth to watch. by Paul Wright and Andrew Richards. SEL in general education 정의를 명확히 내릴 수는 없지만 CASEL것을 따르고 있고 이렇게 중요하다. What SEL is? that in itself is a braod topic of discussion. There is not an unified consensus (don't think there needs to be)..
-
예비 체육교사 정체성 설문지Article summary 2022. 11. 8. 14:04
Liu, J., & Keating, X. D. (2022). Development of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er Identity Scale. European Physical Education Review, 28(1), 186–204. https://doi.org/10.1177/1356336X211028832 예비체육교사 정체성 설문지 개발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er identity (PPET-TI)) 예비 체육교사의 정체성을 3가지 도메인으로 나눔 "self-definitions" "Teaching goals" "Professional responsibiities" Kapl..
-
체육 교사 학습 공동체 문헌 분석Article summary 2022. 10. 23. 22:45
Parker, M., Patton, K., Gonçalves, L., Luguetti, C., & Lee, O. (2022). Learning communities and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 scoping review. European Physical Education Review, 28(2), 500-518. https://doi.org/10.1177/1356336X211055584 Scoping review로 체육 학습공동체(Leaning Communities; LCs) 관련 1990~2020년에 발표된 18개 나라 95개의 연구를 기술 분석, 주제 분석함. 주제 분석의 내용을 통해 교사 공동체 연구가 어떤식으로 이루어졌는지 파악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