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좋은 체육 수업은 목표가 명확한 수업 [Stand for something]
    Essay/From drowningintheshallow 2024. 6. 17. 16:03

    https://drowningintheshallow.wordpress.com/2024/06/15/stand-for-something/

     

    Stand for something

    “… the programs stand for something specific. We learned about good fitness programs, good social development programs, good sport programs, and good adventure progr…

    drowningintheshallow.wordpress.com

    [This is a translated post from drowningintheshallow. I used Google to translate the amazing posts to introduce the wonderful ideas Korean teachers might be interested in.]
    [이 글은 영국의 체육교사/연구자의 블로그에서 좋은 글들을 한국 선생님들께 소개하고자 번역한 글 입니다. 구글 번역에 필요한 경우 수정을 더했습니다.] 

     

    체육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내 입장은 '신체적으로 교육된 인간을 양성하는 것'이다.

    체육(학교 교과)이 혼자 이 일을 할 수 있나요? 아니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첫째, 아이를 신체적으로 교육하려면 한 사회 전부가 필요합니다. 부모, 교사, 학교, 청소년 스포츠 클럽, 정부 부서, 공중 보건, 기업 등 모두가 함께 협력하여 긍정적인 기여를 합니다. 두 번째로, 학교 체육에 대한 시간 제약(1년에 40주 동안 일주일에 2시간 미만 - 영국에서)에 더해 체육 교육을 받은 사람이 되는 신체적, 경험적, 실존적 특성(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영역이 모두 상호 연관되어 있음) 때문입니다). 우리가 체육 교육을 받은 사람들을 사회로서 진정으로 소중히 여긴다면 그것은 체육 교사만의 책임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책임입니다.

    나는 체육 자체가 체육 교육을 받은 사람을 홀로 양육할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체육 자체가 그 목표를 파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쁜 것은 좋은 것보다 강하며, 신중하게 만들어진 수천 개의 긍정적인 경험은 단 하나의 생각 없고 해로운 경험으로 취소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학교에서의 체육이 순전히 좋은 것으로 생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학습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가르칠 때 그것이 의원성 (iatrogenic) 효과를 인지해야 합니다.

    그러면 앞으로 나아갈 길은 무엇입니까? 체육은 우리의 목적에 부합하는 우선순위를 명확히 해야합니다. 그러한 방식으로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우리는 공유된 비전, 언어 및 이해를 개발하고, 그 이해를 더 넓은 학교 공동체와 소통하고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Scott Kretchmar와 Daryl Siedentop의 생각과 일치합니다.

    초등학교 체육의 증가하는 유용성에서 Kretchmar는 현대 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기쁨 중심, 놀이 중심의 움직임 전통과는 완전히 대조적으로 신체 활동을 의무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합니다. 이 글에서는 체육 교육자가 즐거움 중심, 놀이 중심의 사명을 우선시해야 하며 어린이들 사이에 확산되는 신체 활동 부족에 대한 제안된 해결책을 공유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그는 체육이 커리큘럼 조정, 교육적 성취 및 교육적 모호성과 관련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두 주인(두 가지 방향성)"을 섬기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 경고합니다. 이는 각 체육 교사에게 관리하기 어려운 교육적 부담을 안겨줍니다.

    Siedentop은 중등 및 중등 방법 교재 작성을 준비하면서 그와 동료들이 좋은 고등학교 체육 프로그램을 찾아 연구를 했습니다. 그들은 '좋은' 중등 체육 프로그램의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했는데, 그 중 두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좋은 체육 프로그램은 명확한 목표가 있었습니다. 프로그램을 정의하는 독특한 주요 초점이나 주제가 있었습니다. 다중 영역 접근 방식을 취하더라도 다른 것보다 우선시하는 접근 방식이 있었습니다.
       2. 프로그램에 대한 명확한 기대가 있었습니다. 목적의식과 기대가 명확하게 전달되었습니다. 체육 교사들은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에 자부심을 느꼈고 더 넓은 학교 공동체와 함께 그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Kretchmar와 Siedentop이 각자의 글에서 말하는 내용은 "두 마리 토끼를 쫓는 사람은 아무것도 잡지 못한다"는 옛 속담과 비슷합니다. 우리의 경우 여러 우선 순위를 쫓는 체육은 그 중 어느 것도 달성하지 못합니다.

    이는 체육이 일원론적 입장(체육을 수행하는 방법은 단 하나임)이나 상대주의적 입장(무슨 방향이든 가능)을 취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다원주의적 입장을 취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체육 프로그램이 취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우선순위가 있으며, 이는 체육 교육을 받은 사람을 양성하는 데 더 넓은 사회를 지원합니다. 목적과 우선순위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하며 이를 잘 수행해야 합니다.

    나에게 있어 체육의 우선순위는 내용일 뿐만 아니라 학습 매체이기도 한 "움직임 개념"을 가져야 합니다. 그러나 움직임이 있더라도 우리는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려고 노력할 때 다원주의적 입장을 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체육 프로그램은 신체 교육을 받은 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어 운동 능력과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뒷받침하는 기능적 움직임과 정신-행동 기술의 개발을 우선순위로 삼을 수 있습니다. (예시 책: 갤러의 움직임 발달, 굴드의 스포츠심리학, 스트랭스와 컨디셔닝 등)

    또는… 체육 프로그램은 건강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를 개발하고 신체 교육을 받은 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어 움직임이 우선순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예시 책: 케이시의 모델기반교육, 시든톱 등의 스포츠교육모형, 다이슨의 협력학습, 라이트의 게임센스 등)

    또는… 체육 프로그램은 신체 교육을 받은 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어 운동 형태에 참여할 때 발견되는 개인적 중요성과 의미를 우선순위로 삼을 수 있습니다. (예시 책: 플래쳐의 의미중심교육, 아놀드의 체육교육의 의미 등)

    또는… 체육 프로그램은 체육 교육을 받은 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어 다양한 움직임 상황에 참석하고 적응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삼을 수 있습니다. (예시 책: non-linear 페다고지 또는 dynamic 기술 습득 관련 책)

    이는 우선순위 지정의 몇 가지 예일 뿐입니다. 어떤 우선순위를 선택하든지 지역 사회와 상황의 요구를 존중하고 충족해야 합니다. 또한 체육 교육을 받은 사람을 양육하는 데 우선순위가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뿐만 아니라 그들로부터 필요한 다른 지원이 무엇인지도 해당 커뮤니티에 명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문제는 체육 프로그램의 우선순위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인지입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는 어느 한 가지 방향이 다른 방향보다 우선함을 주장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다양한 방향성이 있을 수 있음을, 체육교육자에게 익숙한 신체 일원론과 이원론에 비유하여 보여줍니다. 단 하나의 방법이 존재하거나, 이것이 저거보다 좋다고 주장하기 보다 지역 사회와 상황이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다원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한다고 말합니다.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체육교육이 많습니다. 한국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을 통해 각 방향이 서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노력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때로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으려다 놓치는 결과를 만듭니다. 시든톱이 말했듯, 한 가지 교육에는 한가지 명확한 목표가 필요합니다. 그것을 명확히 이해하고 가르치는 것이 좋은 수업의 필수조건이라 생각합니다. 다원주의적 접근을 통해 한 가지 방향에 집중하는 체육 프로그램을 인정하고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Comment

A journey of Physical Educator